새로운 달이 시작되면 저는 달력을 넘기면서 이번 달엔 어떤 날이 있을까 확인하는 습관이 있는데요. 4월에는 청명과 더불어 '한식' 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절기 한식날에 대한 날짜와 풍습, 음식까지 자세히 소개해보겠습니다.
절기 '한식'
- 계절 : 봄
- 날짜 : 양력 4월 5일경
- 의미 : 동지(冬至) 후 105일 째 되는 날.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
- 풍습 : 일정 기간 불의 사용을 금지하고 찬 음식을 먹는다
이 날은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중요한 명절 중 하나입니다. 고대 중국의 관습에서 출발한 것으로, 특히 불 사용을 금하고 찬 음식을 먹는 습관이 특징인데 이에 따라서 금연일이라 불리기도 하고, 숙식이나 냉절이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한식의 유래
한식은 음력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서, 음력 2월이나 3월에 있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2월 한식과 3월 한식을 구분하는 개념이 있습니다. 2월에 한식이 있으면 세월이 좋고 따뜻한 해로 여겨지고, 3월에 있으면 지역에 따라서는 개사초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식의 유래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개자추라는 인물의 이야기입니다. 개자추는 진(晉)나라의 공자 중이를 위해 헌신하다가 불을 사용하지 않고 찬 음식만 먹는 습관이 시작되었다는 설인데요. 다른 하나는 개화의 의례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는데, 오래된 불을 끄고 새로운 불을 피워 사용하는 개화 의례가 한식의 전통과 연관 됩니다. 이 두 번째 설이 더 유력하다고 하네요.
한식은 한국 사회에서 고려 시대부터 중요한 명절 중 하나로 고려 시대에는 한식에 금화와 성묘의 관습, 그리고 투란 놀이가 있었습니다. 조선 시대에도 한식은 중요한 명절로 여겨졌고, 많은 시가 전해지는 등 그 중요성을 반영했습니다. 세종 13년에는 한식 기간 동안 불 사용을 금지하는 명령도 내려졌고, 왕실에서는 종묘 제향이나 성묘를 통해 조상 숭배를 했지요.
하지만 오늘날에는 한식의 의미가 많이 퇴색되어 특별한 행사 없이 지내는 경우도 많고, 불 사용을 금지하거나 찬 음식을 먹는 관습도 잘 지켜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식 날씨를 보고 그 해의 농사 기운이나 풍조를 점치는 관습은 아직도 널리 행해집니다. 요즘에는 손 없는 날로 여겨 산소에 손을 대도 탈이 없는 날로 여기며, 한식을 기점으로 농사를 준비하기도 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경기도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대상 신청방법 (0) | 2024.04.11 |
---|---|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 5월부터 병원갈 때 신분증 필수 (0) | 2024.04.08 |
운전면허 적성검사 갱신방법 온라인 수수료 신체검사 (0) | 2024.04.03 |
청년월세지원금 소득조건 신청기간 지급일 신청방법 (0) | 2024.03.29 |
일자리채움 청년지원금 (빈일자리 청년취업지원금) 신청방법 (0) | 2024.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