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절기 한식날 날짜 음식 풍습

by 세이효 2024. 4. 3.
반응형

 

새로운 달이 시작되면 저는 달력을 넘기면서 이번 달엔 어떤 날이 있을까 확인하는 습관이 있는데요. 4월에는 청명과 더불어 '한식' 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절기 한식날에 대한 날짜와 풍습, 음식까지 자세히 소개해보겠습니다.

 

절기 '한식'

  • 계절 : 봄
  • 날짜 : 양력 4월 5일경
  • 의미 : 동지(冬至) 후 105일 째 되는 날.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
  • 풍습 : 일정 기간 불의 사용을 금지하고 찬 음식을 먹는다

 

이 날은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중요한 명절 중 하나입니다. 고대 중국의 관습에서 출발한 것으로, 특히 불 사용을 금하고 찬 음식을 먹는 습관이 특징인데 이에 따라서 금연일이라 불리기도 하고, 숙식이나 냉절이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한식의 유래

 

한식은 음력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서, 음력 2월이나 3월에 있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2월 한식과 3월 한식을 구분하는 개념이 있습니다. 2월에 한식이 있으면 세월이 좋고 따뜻한 해로 여겨지고, 3월에 있으면 지역에 따라서는 개사초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식의 유래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개자추라는 인물의 이야기입니다. 개자추는 진(晉)나라의 공자 중이를 위해 헌신하다가 불을 사용하지 않고 찬 음식만 먹는 습관이 시작되었다는 설인데요. 다른 하나는 개화의 의례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는데, 오래된 불을 끄고 새로운 불을 피워 사용하는 개화 의례가 한식의 전통과 연관 됩니다. 이 두 번째 설이 더 유력하다고 하네요.

 

한식은 한국 사회에서 고려 시대부터 중요한 명절 중 하나로 고려 시대에는 한식에 금화와 성묘의 관습, 그리고 투란 놀이가 있었습니다. 조선 시대에도 한식은 중요한 명절로 여겨졌고, 많은 시가 전해지는 등 그 중요성을 반영했습니다. 세종 13년에는 한식 기간 동안 불 사용을 금지하는 명령도 내려졌고, 왕실에서는 종묘 제향이나 성묘를 통해 조상 숭배를 했지요.

 

하지만 오늘날에는 한식의 의미가 많이 퇴색되어 특별한 행사 없이 지내는 경우도 많고, 불 사용을 금지하거나 찬 음식을 먹는 관습도 잘 지켜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식 날씨를 보고 그 해의 농사 기운이나 풍조를 점치는 관습은 아직도 널리 행해집니다. 요즘에는 손 없는 날로 여겨 산소에 손을 대도 탈이 없는 날로 여기며, 한식을 기점으로 농사를 준비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댓글